티스토리 뷰
파이썬을 이용해서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언어 자체에서 지원하는 내장 메소드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 이 때, 각 메소드들의 시간 복잡도를 정확하게 알고 사용해야 제대로된 알고리즘을 작성할 수 있다. 따라서 파이썬의 기본 타입들이 제공하는 메소드들과 그것들의 시간 복잡도를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.
우선 변수 할당(바인딩, Binding)의 시간 복잡도는 O(1)이다. 즉, 'a = 1'이라는 할당문은 O(1)라는 시간복잡도를 갖는다. 여기에 산술연산, 값에 대한 비교 연산들 역시 모두 O(1)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.
list 타입의 메소드와 Big-O
리스트 타입의 내장 메소드들의 리스트와 그것들의 시간 복잡도에 대해서 알아보겠다. 소문자 L은 리스트 객체를 나타냈고 대문자 N은 리스트의 사이즈를 의미한다.
연산 |
설명 |
예제 |
복잡도 |
비고 |
Index |
n번째 element 접근 |
l[i] |
O(1) |
|
Store |
n번째에 element 할당 |
l[i] = 10 |
O(1) |
|
Length |
List의 길이 가져옴 |
len(l) |
O(1) |
|
Append |
List의 뒤쪽에 element 추가 |
l.append(1) |
O(1) |
|
Pop |
List의 뒤쪽 element 제거 |
l.pop() |
O(1) |
l.pop(-1)과 동일한 동작 |
Clear |
List를 비움 |
l.clear() |
O(1) |
l = list(), l = [] 과 동일 |
Slice |
List의 일부를 취함 |
l[a:b] |
O(b-a) |
복사되는 element의 개수에 비례 |
Extend |
리스트뒤에 리스트를 붙임 |
l.extend(other_list) |
O(len(other_list) |
추가되는 list의 size에 비례 |
Construction |
list 객체 생성 |
list() |
O(len(...)) |
초기화 되는 리스트 Element 개수에 비례 |
Equality |
두 리스트가 같은지 확인 |
l1 == l2 |
O(N) |
N : list의 size |
Insert |
특정 위치에 element를 끼워 넣음 |
l.insert(2, 10) |
O(N) |
중간에 끼워 넣어야 해서 한칸씩 뒤로 밀려나서 그러는듯? |
Delete |
특정 위치의 element를 제거함 |
del l[10] |
O(N) |
마찬가지로 중간에 제거되고 그 뒤에 있는 Element를 땡겨줘야해서 그러는듯? |
Containment |
특정 Element가 list 내에 있는지 확인 |
x in l, x not in l |
O(N) |
Searching Overhead |
Copy |
list를 복사 |
l.copy() |
O(N) |
l[:]와 동일한 결과 |
Remove |
list에서 Element를 제거 |
l.remove(10) |
O(N) |
10이라는 값을 제거 |
Pop |
List의 i번째 element를 제거 |
l.pop(1) |
O(N) |
O(N - i). |
Extreme |
min/max 값 찾기 |
min(l), max(l) |
O(N) |
전체를 한번씩 탐색 필요 |
Reverse |
리스트를 역순으로 변경 |
l.reverse() |
O(N) |
|
Iteration |
리스트의 element들을 한번씩 순회 |
for item in l : |
O(N) |
|
Sort |
정렬 수행 |
l.sort() |
O(N * log N) |
|
Multiply |
리스트의 element들을 k번 반복해서 리스트를 생성 |
k * l |
O(k * l) |
3 * [0] -> [0,0,0] |
각 연산들이 파이썬 내부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잘 생각해보면, 각 시간 복잡도를 쉽게 유추할 수 있다.
Set 타입의 메소드와 Big-O
집합(set) 타입의 메소드들과 그들의 시간 복잡도를 정리해보자. 리스트와 비슷하게 소문자 S와 소문자 T는 집합을 나타내고, N은 집합에 있는 엘리먼트의 개수를 의미한다.
연산 |
설명 |
예제 |
복잡도 |
비고 |
Length |
집합 element들의 개수 |
len(s) |
O(1) |
|
Add |
집합에 element 추가 |
s.add(10) |
O(1) |
|
Containment |
집합에 특정 Element가 있는지 확인 |
10 in s, 10 not in s |
O(1) |
List/Tuple은 O(N)임과 비교 |
Remove |
집합에서 특정 Element를 제거 |
s.remove(10) |
O(1) |
List/tuple의 경우 O(N) |
Discard |
집합에서 특정 Element를 제거 |
s.discard(10) |
O(1) |
|
Pop |
집합에서 임의의 element하나를 제거 |
s.pop() |
O(1) |
|
Clear |
집합을 공집합(empty)으로 만들어버림 |
s.clear() |
O(1) |
s = set() 과 동일 |
Construction |
집합을 생성 |
set(...) |
O(len(...)) |
새로 생성되는 집합 요소(Element)의 개수에 비례 |
Equality |
동일한 집합인지 연산 |
s == t, s != t |
O(len(s)) |
모든 element가 동일하면 동일한 집합 |
Subset |
Subset인지 여부를 확인 |
s <= t, s >= t |
O(len(s)) |
Subset 쪽의 모든 element가 superset에 존재하는지 확인 |
Union |
합집합 |
s | t |
O(len(s) + len(t)) |
|
Intersection |
교집합 |
s & t |
O(len(s) + len(t)) |
|
Difference |
차집합 |
s - t |
O(len(s) + len(t)) |
|
Symmetric |
두 집합의 상대 여집합의 합 |
s ^ t |
O(len(s) + len(t)) |
|
Iteration |
집합의 모든 element들을 순회 |
for v in s: |
O(N) |
|
Copy |
집합을 복사 |
s.copy() |
O(N) |
집합 연산은 리스트에 비해 순서를 보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O(1)에 끝나는 연산들이 더 있다. 따라서 순서를 보장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리스트 대신 집합 타입을 사용해서 시간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.
dict 타입의 메소드와 Big-O
마지막으로 dict 타입의 메소드들과 그것들의 시간 복잡도를 정리해보겠다. 소문자 D는 dict 타입을 의미하며, 소문자 K는 키 값을 의미한다.
연산 |
설명 |
예제 |
복잡도 |
비고 |
Index |
특정 Element에 접근 |
d[k] |
O(1) |
|
Store |
특정 Element에값을 설정 |
d[k] = v |
O(1) |
|
Length |
Dict에 들어있는 Element 개수 |
len(d) |
O(1) |
|
Delete |
특정 Element를 지움 |
del d[k] |
O(1) |
|
Pop |
특정 Element를 지움 |
d.pop(k) |
O(1) |
|
Pop item |
무작위로 Element 하나를 지움 |
d.popitem() |
O(1) |
|
Clear |
Dict를 초기화 |
d.clear() |
O(1) |
d = {}와 동일함 |
View |
Dict의 Key들을 List형태로 가져옴 |
d.keys() |
O(1) |
d.values()도 동일 |
Construction |
Dictionary를 생성 |
dict(...) |
O(len(...)) |
새로 생성되는 Dict의 element 개수에 비례 |
Iteration |
Dict 내의 element들을 순회 |
for k in d: |
O(N) |
각 타입마다 메소드들의 시간 복잡도가 약간씩 다르다. 각 타입별로 메소드들의 시간복잡도를 이해하고 적절한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시간 복잡도를 줄여 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자.
Reference
- https://www.ics.uci.edu/~pattis/ICS-33/lectures/complexitypython.txt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MacOS
- 텃밭
- GitHub
- 파이참
- 도커
- InterlliJ
- Jekyll
- 청양고추
- 깃허브
- okhttp
- hadoop
- 하둡
- 화분
- 상추 재배기
- monitoring
- linux
- 리눅스
- docker
- Python
- 지킬
- 자바
- 베란다 텃밭
- 화분 버리기
- 고추
- java
- pycharm
- 베란타 텃밭
- 파이썬
- nf_conntrack
- 상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